네트워크(7)
-
4장 라우터_라우터 기본설정 명령어
en conf t ho R1 no ip domain-lookup ena sec kgitbank1004 lin con 0 pass kgitbank1004 login logging sy exec-timeout 0 0 lin vty 0 4 pass kgitbank1004 login logging sy exec-timeout 0 0 !!!! Router> //사용자모드(간단한 확인 정도만 가능, 아무것도 설정할 수 없음) * 명령어가 기억나지 않는 경우 ?를 표기하면 해당모드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 목록이 나열됨. Router>co? // 2글자는 기억이 나지만 나머지 뒤의 스펠링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 기억나는 글자까지만 친 후 ?를 치면 됨 // 단 중복되는 명령어가 있으면 여러개가 뜰 수 있음. // 또는 c..
2022.08.29 -
4장 라우터
라우터의 역할 - 라우터는 Layer3(Network 계층) 장비이다. - 서로 다른 Network를 연결하고 Broadcast Domain을 작게 나눈다. - 라우터는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packet의 목적지 IP주소를 보고 목적지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할 것을 결정 이를 Routing이라고 한다. - 라우터의 기본 기능은 경로 결정, 경로에 따른 packet 전송( 스위칭) ( 그 외에도 네트워크 보안, QoS 등의 기능도 있다.) - 경로결정 : packet이 목적지로 갈 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어느 경로가 가장 최적경로(Best path)인지 결정 - 스위칭 : 결정된 경로대로 packet을 전송해주는 것 - Router는 Routing table(라우팅 테이블)을 보고 ..
2022.08.25 -
3장_ 이더넷, 계층별 장비, Cable
🤢 이더넷(Ethernet) - LAN 구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킹 방식 중 하나( Layer2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다른 방식으로는 Token ring, FDDI 방식이 있다. - LAN에서 사용되는 protocol, 1980년에 DEC, 인텔, 제록스가 공동 개발한 Ethernet 1을 기반으로 1985년 IEEE에서 IEEE 802.3이라는 표준을 발표 - 네트워크 방식에 맞춰서 네트워크 장비들을 구입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90% 이상이 Ethernet 방식으로 네트워킹) * CSMA/CD CSMA/CD는 half duplex에서 동작하는 링크에서 Ethernet이 Frame을 전송하는 절차 1. 호스트가 Frame을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 상에 다른 Frame이 전송되는지 확인 ->Ca..
2022.08.24 -
2장 IP주소의 이해(1)
💭IP addressing - IP address -> IP는 논리적인 주소. TCP/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장비들에게는 고유의 IP주소가 부여된다. (주소가 같은 다른 장비가 존재한다면 IP 주소가 서로 충돌) -> IP address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구성. IP address = Network ID + Host ID ex. 교실 이름과 학생 번호 - IP 주소는 network 부분과 host부분으로 그분 - 하나의 네트워크란 하나의 broadcast domain. - 하나의 네트워크란 L3장비(Router)를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영역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Router를 거쳐야 한다. - 동일 네트워크에서는 Network부분은 모두 같고 Host부..
2022.08.17 -
1장. 네트워크와 OSI 7 Layer (3)
💭 OSI 7 Layer - OSI 7 Layer 모델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1984년에 발표한 OSI 7 Layer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구분해서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보여준다. - 컴퓨터 통신 구조의 모델과 앞으로 개발될 프로토콜의 표전적인 뼈대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된 참조 모델 💭 1. OSI 7 Layer 모델 - 데이터의 흐름이 한 눈에 보인다. - trouble shooting이 쉽다. - 네트워크를 공부하는 사람들이 네트워크 동작 과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다. - 계층을 7단계로 구분하고 각 층별로 표준화했기 때문에 여러 회사 장비를 사용해도 네트워크가 이상 없이 돌아간다. 💭 1계층 : Physical Layer(물리 계층) -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물리적인 표준 ..
2022.08.17 -
1장. 네트워크와 OSI 7 Layer (2)
네트워킹 방식 1) 이더넷 2) 토큰링 😃 토큰링 - 옆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짐 - 한 네트워크 상에서 오직 한 pc, 즉 토큰을 가진 pc만이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실어 보낼 수 있다. - 데이터를 다 보내고 나면 바로 옆 pc에게 토큰을 건네주는 방식 - 토큰을 가지고 있는 pc가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면 토큰을 다시 옆 pc에게 전달한다. - 장점 :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 단점 : 오직 한 pc만이 데이터를 나를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컴퓨터들은 주구장창 대기해야 하는 상황 발생 😃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 1. MAC address (물리적 주소) - 고유정보. 각각의 장치마다 다르게 부여됨. 중복 x ex)주민등록번호 - 컴퓨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한 MAC이라는 주..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