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구조(5)
-
컴퓨터 구 lecture note #06
https://inyongs.tistory.com/121 [ 컴퓨터구조 ] MIPS Instructions (+Instruction to binary) MIPS Instructions (+Instruction to binary) MIPS instruction의 종류와 instruction이 어떻게 binary code로 바뀌는지 살펴보자. 사람과 컴퓨터는 소통해야 한다. 소통하는 과정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Hi.. inyongs.tistory.com [Lecture04] ISA part2 참고 🤯Register Usage and Stack 추가적인 register와 stack 에 해 알아보자. MIPS register에는 다음과 같은 register가 존재한다. $v0,$v1 : return값을..
2022.10.09 -
컴퓨터 구조 lecture note #05
✍️ R-format For the instructions that use only Register operands 명령들을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MIPS에서 명령들은 32Bit으로 Encoded 된다. 이는 ISA마다 다를 수 있다. MIPS는 32개의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레지스터들은 각각의 번호마다 쓰이는 역할이 다르다. (Green card 참조) 먼저 R-format 연산에 대해 살펴보자. R-format은 위 그림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op(opcode) : 이 연산이 어떤 연산인지를 나타낸다. 만약 R-format의 연산이라면 추가적으로 funct비트를 확인 rs : 첫번째 레지스터의 소스. 연산 후 rd에 저장 rt : 두번째 레지스터의 소스. 연산 후 rd에 저장 rd :..
2022.10.06 -
컴구 Lecture Note #04
[Lecture03] ISA part1.pdf 참고 http://egloos.zum.com/psyoblade/v/2411691 제2장 명령어 - 용어정리 및 요약 1. 명령어 집합(instruction set)특정한 구조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집합 - 컴퓨터 하드웨어에게 일을 시킬 수 있는 도구, 언어의 집합2. 내장 프로그램(stored-program)개념여러 종류의 데이터와 egloos.zum.com https://plan0a-0z-entering-security.tistory.com/39 Chapter 2 : Instructions : Language of the Computer MIPS ISA Key underlying design principles 1. Simplicity favors ..
2022.10.02 -
컴구 lecture note #03
👹 CPU 성능 측정 clock rate의 값은 HW와 관련 clock cycles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은? CPU 성능의 측정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존재한다. 성능을 측정하는 요인에는 어떤것이 있을까? 1.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사이클 수 2. 프로그램의 명령의 개수 3. 초당 사이클 수(Clock rate) 4. 명령(instruction) 당 사이클수의 평균 개수 5. 초당 명령의 평균 개수 위 요소들 중 성능 비교가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잠시 생각해보자. 정답을 먼저 말하자면 위 5개의 요소 전부 성능을 비교하는 요소로서 적합하지 않다. 하나씩 이유를 살펴보자. 1번. 프로그램의 사이클 수 Q. A라는 프로그램은 사이클이 100만 개고 B라는 프로그램의 사이클은 200만 개라고 ..
2022.09.18 -
컴구 lecture note #02
metrics : 측정항목 👋 Two metrics for defining computer performance (컴퓨터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1. Response time : 하나의 task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시작 ~ 끝) The time between the start and completion of a task ex. how long it takes to do a single task 2. Throughput : 주어진 시간동안 얼마나 수행하는지 - throuput은 매우 중요한 측정항목임!! 특히 서버에서. 하지만 본 수업에서는 response time에 더 초점을 맞춤. - A total amount of works done per unit time ex. tasks per ..
202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