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9)
-
POST방식을 이용한 정보의 전달 2: form
제출 클릭 let express = require('express'); let app = express(); app.locals.pretty=true; app.set('views','./views'); app.set('view engine','pug'); app.get('/form',function(req,res){ res.render('form'); }); app.get('/form_receiver',function(req,res){ let title = req.query.title; let description = req.query.description; res.send(title+','+description); }); app.get('/template',function(req,res){ res.re..
2022.08.10 -
Express, 템플릿 엔진 사용법(pug)
express 자체는 템플릿 엔진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템플릿 엔진 기능을 쓰기 위해서는 템플릿 엔진을 설치해서 express와 연결한 뒤 사용해야함 http://expressjs.com/ko/guide/using-template-engines.html#express%EC%99%80-%ED%95%A8%EA%BB%98-%ED%85%9C%ED%94%8C%EB%A6%AC%ED%8A%B8-%EC%97%94%EC%A7%84%EC%9D%84-%EC%82%AC%EC%9A%A9 Express와 함께 템플리트 엔진 사용 Express와 함께 템플리트 엔진을 사용 Express가 템플리트를 렌더링하려면 다음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설정이 필요합니다. views, 템플리트가 있는 디렉토리. 예: app.set('views'..
2022.08.10 -
[node.js]POST방식을 이용한 정보의 전달1
기본이 get 방식 application에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http://a.com/topic?id=1) APP은 사용자의 접속(요청)에 따라 정보를 응답해줌. 사용자는 응답한 정보를 가져옴.(get) GET방식 정보를 서버에 요청해서 가져오는 방식 get : 서버의 정보를 가져옴. 사용자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은? ex.로그인 ex.작성한 글을 서버로 전송 사용자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때는 get방식이 아닌 post 방식을 사용
2022.08.10 -
1장. 네트워크와 OSI 7 Layer (2)
네트워킹 방식 1) 이더넷 2) 토큰링 😃 토큰링 - 옆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짐 - 한 네트워크 상에서 오직 한 pc, 즉 토큰을 가진 pc만이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실어 보낼 수 있다. - 데이터를 다 보내고 나면 바로 옆 pc에게 토큰을 건네주는 방식 - 토큰을 가지고 있는 pc가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면 토큰을 다시 옆 pc에게 전달한다. - 장점 :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 단점 : 오직 한 pc만이 데이터를 나를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컴퓨터들은 주구장창 대기해야 하는 상황 발생 😃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 1. MAC address (물리적 주소) - 고유정보. 각각의 장치마다 다르게 부여됨. 중복 x ex)주민등록번호 - 컴퓨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한 MAC이라는 주..
2022.08.08 -
1장. 네트워크와 OSI 7 Layer (1)
🤯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함 www.naver.com 를 아는 것 만으로 네이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가? X 주소(ip)를 몰라서 초창기 인터넷을 사용할 때는 ip를 사용했습니다. 🤯 서버에 접속하려면 항상 dns server에 질의해야 하는가? 한 번 받아 놓은 것은 dns cache에 기억해둔다. ip를 알고 있다면 dns server에 질의할 필요 없다. ip를 쓰던 시절에는 dns server가 없었다. ipconfig/flush > 내 컴퓨터의 DNS 캐쉬 초기화 window+R 🤯 DNS Server(Domain Name System Server) = 체계적인 도메인의 이름 www.11st.co.kr. 맨 끝점(.) - 맨 끝점은 생략 - root Domain(도메인의 뿌리(모든 도..
2022.08.06 -
[servlet]서블릿 시작하기
😱서블릿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규칙을 지닌 자바프로그램(클래스)이다. 😱서블릿 작동순서 클라이언트에서 servlet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에서는 servlet컨테이터를 만들고, 요청이 있을 때마다 스레드가 생성된다. java는 멀티스레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다른 CGI(Common Gateway Interface)언어에 비해 서버부하가 적다. (CGI : 웹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방법이나 규약들. 즉,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서버의 응답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가 외부 프로그램과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규약들) 서블릿은 JAVA기반이기 때문에 서버 안에 JVM(멀티스레드 지원)을 통해 스레드 생성후 요청을 생성된 스레드로 보낸다.
2022.08.06